cctv 용어 설명
CCTV 관련 용어
Actual Pixel - 유효화소수 CCD칩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전체 화소수를 총화소수라고 이야기하고, 이에 비하여 유효화소수라고 하는 것은 실제로 영상의 형성에 관계하는 화소의 숫자를 이야기한다. CCD의 주변부분은 신호를 보내는 출력부 등이 있어서, 이 부분(약10%)은 영상의 형성에는 관계가 없다. 예를 들어, 현재 많이 보급되어 있는 41만화소 CCD에의 유효화소수는 38만이 보통이다. 감시카메라 기능의 한가지 판단 기준으로서 화소를 보기도 하지만 이 경우, 총화소수보다 유효화소수를 보는 것이 정확하다.
--------------------------------------------------------------------------------
ADC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는 보통 ADC 또는 A/D Converter로 불리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다. ADC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변환 장치로 즉, 연속적인 값을 표현하는 아날로그 형태로 구성된 신호를 입력 받아서 불연속적인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반대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를 D/A Converter라고 한다.
--------------------------------------------------------------------------------
AD/DA ConverterAD(Analog-to-Digital)/DA(Digital-to-Analog) Converter AD 컨버터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DA 컨버터는 반대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장비이다. AD/DA 컨버터는 그 모두가 가능하다
--------------------------------------------------------------------------------
Address 주 메모리나 디스크 상의 데이터의 위치 또는 네트워크 구성 요소를 구분해 주는 이름을 말한다. 기억장치의 특정한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숫자, 이름, 레이블 등의 값으로 기억장치는 단위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 요소들의 모임으로 구성되며 각 요소는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있다. 어떠한 정보나 신호가 통신망을 통해 전파될 때 그것의 출발지점이나 목적지를 나타내는 숫자나 이름 혹은 패턴이다.
--------------------------------------------------------------------------------
AE Camera (Automatic Exposure control Camera)AE카메라란 자동노출조정 카메라를 일컫는다. 피사체에 카메라를 향하고 셔터를 누를때 언제나 표준적인 노광량(露光量)을 얻을 수 있도록 피사체의 밝기에 따라 셔터속도나 렌즈조리개 또는 두가지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가진 카메라이다. 미리 렌즈의 조리개를 맞춰놓으면 그에 대응하는 셔터속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조리개우선식AE, 미리 맞춰놓은 셔터속도에 대응하여 렌즈조리개가 변화하는 셔터우선식AE, 렌즈조리개와 셔터속도가 일정한 조합(組合)으로 함께 변화하는 프로그램식AE 등 3가지 방식이 있다. 그러나 AE촬영은 배경의 밝기가 피사체의 밝기와 극단적으로 다를 경우에는 표준적인 노광(露光)을 얻을 수 없는 결점이 있다.
--------------------------------------------------------------------------------
AGC(Automatic Gain Control) AGC는 Automatic Gain Control, 즉 자동이득조정을 말하며 규정을 오버한 강한 레벨의 신호가 입력 됐을 시에는 Gain(필름의 감도와 같은 의미)을 제어하여 신호포화를 방지하고, 약한 신호의 경우에는 규정의 레벨까지 올려서 일정의 레벨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ALC (Automatic Light Control)빛의 양이 변화하는 상태에서 카메라의 출력레벨을 일정하게 보정하기 위해, 카메라/렌즈 시스템의 조리개에는 개폐를 조절하는 서버 제어시스템이 적용된다. 이 시스템은 렌즈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카메라로부터 나오는 전원과 비디오 출력을 받는다. 카메라 내부에 서버시스템이 포함되고, 4개의 선으로 렌즈와 연결되는 다른 시스템도 있다.
--------------------------------------------------------------------------------
Algorithm (알고리즘) 컴퓨터 프로그램은 정교한 알고리즘들의 집합이라고 간주 할 수 있다. 수학이나 컴퓨터 과학에서 말하는 알고리즘은, 보통 반복되는 문제를 풀기 위한 작은 프로시저(procedure)를 의미한다.
--------------------------------------------------------------------------------
Angle (화각)영상을 잡을 수 있는 범위의 각도로서, 사각(寫角) 또는 앵글이라고도 한다. 렌즈의 초점거리와 결상하는 화면의 크기로 결정되며, 대각선을 화각으로 표시한다. 넓은 화각을 가진 렌즈를 광각렌즈, 좁은 화각을 가진 렌즈를 망원렌즈라고 한다. 줌렌즈는 화각을 연속적으로 바꿀 수 있다.
--------------------------------------------------------------------------------
Aperture (개구율)개구율(Aperture) 촬상소자의 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렌즈의 개구율을 지칭한다. 흔히 렌즈의 개구율은 조리개의 조정에 의해 제어되며, F의 숫자(F-number)가 증가(ex)f1.4, f1.8, f2.8 등)함에 따라 촬상소자에 도달하는 빛의 양은 감소한다.
--------------------------------------------------------------------------------
Automatic (자동초첨렌즈) Iris Lens 카메라 촬상소자의 면에 항상 적절한 빛이 입력 되도록 자동으로 개구율을 조절할 수 있는 렌즈.
--------------------------------------------------------------------------------
Auto Switch/Auto Selector 오토스위치, 오토셀렉터 또는 영상자동절환기라고 말한다. 카메라 또는 기타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절환하는 영상switcher로 cctv시스템 또는 기타 영상기기와 연결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시간/문자 표시기능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
AWB AWB(Auto White Balance) 감시용으로 사용하는 칼라카메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카메라 설치장소에 따라 아침과 저녁으로 시간에 따라 색온도가 3000(도)K부터 7000(도)K까지 변하게 되는데 이 영향으로 모니터 화면의 색 변화가 심해지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AWB(Auto White Balance 자동 색온도 보정장치)기능을 추가하여 자동적으로 색의 균형을 맞추어 자연스러운 화면을 볼 수 있게 하고 있다.
--------------------------------------------------------------------------------
BOSSBOSS(Block based Object Selection System) BOSS 알고리즘이란 입력 영상을 배경과 목표물영역의 두 가지 영역으로 분리·처리하여 분리된 영역별로 중요도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압축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압축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게 만든 압축알고리즘입니다. 움직임이 검출되면 배경과 목표물을 분리합니다. 화면에서 움직임의 여부를 검출하고 움직임이 없을 경우 저장하지 않습니다. 고압축 부호화하여 저장합니다. 따라서 움직이는 피사체만을 녹화하여 배경은 저장하지 않고 피사체만을 재생할 수 있고, 또한 피사체만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기억장치의 사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
Back LightBack Light(역광) 대상물의 후면에서 강한 빛이 투사되어 대상물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낮아 보이는 상황을 말한다.
--------------------------------------------------------------------------------
Backbone Backbone(백본) 트래픽의 주된 경로가 되는 네트워크 장비로 노드를 연결하는 Main Wire(=Bus). 주로 인터넷을 구성하는 메인 네트워크 연결을 가리킬 때 자주 사용된다.
--------------------------------------------------------------------------------
Backup자료의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자료를 복제하여 보관하는 것. 컴퓨터상에서는 백업장치로 별도의 하드디스크에 자료를 저장 보관하거나 CD에 보관하기도 한다. 또한 DVR상에 녹화된 영상자료도 하드디스크나 CD로 저장할 수가 있다.
--------------------------------------------------------------------------------
Beacon노측 통신방식의 일종으로 교차로, 신호등 등에 IR전송장치를 부착하여 차량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유럽에서 주로 연구, 실용화하고 있다.
--------------------------------------------------------------------------------
BLCBLC(역광보정기능) Back Light Compensation의 준말로서 역광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능. 피사체가 역광 상태 하에서 촬영될 경우 모니터에 재생 시 배경은 밝고 피사체는 어둡게 되어 피사체가 식별불능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두된 기능으로, 한마디로 역광상태의 화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능을 말한다.
--------------------------------------------------------------------------------
BracketBracket(브라켓) 카메라를 천정에 매달든지 벽면이나 기둥에 설치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고정대.
--------------------------------------------------------------------------------
Bus Network두 개의 엔드 포인트로 된 단일회선에 모든 노드들이 연결된 네트워크. 예를 들어, Ethernet 10Base-2와 10Base-5 네트워크가 버스 네트워크이다. 일반적인 네트워크 형태에는 스타형과 링형 네트워크가 있다.
--------------------------------------------------------------------------------
B/W B/W(Black and White) Black and white, 즉 흑백영상의 준말로서 사용된다.
--------------------------------------------------------------------------------
BNC코넥터BNC코넥터는 동축케이블을 MAU에 연결하는 커넥터이며, BNC는 Byinet Neil Concelamn의 약어로서 거의 모든 cctv와 방송용 장비에서 동축케이블에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기본적인 코넥터로 사용되고 있다.
--------------------------------------------------------------------------------
Bullet Camera (총알 카메라) 카메라를 몰래 숨겨서 사용하기 위해서 총알형태의 작은 크기로 만든 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로 이 때 사용하는 렌즈를 핀홀렌즈라하여 핀홀카메라라고도 한다. 해외에서는 Bullet Camera(총알형 카메라)라는 표현이 일반적이다.
--------------------------------------------------------------------------------
CCTVCCTV는 Closed Circuit Television의 약어이며 직역을 하면 폐쇄회로텔레비전이다. 이는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화상을 전송하는 텔레비전방식이다. 광의의 개념상에는 일반 유·무선방송을 개(開)회로 텔레비전시스템이라하고, 이와 대비하여 특정한 화면 수상자에게 화상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폐(閉)회로 텔레비전시스템 즉, CCTV라고 부른다. 화상의 송·수신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대개 유선이 보편적인 형태)하며, 수신대상 이외는 임의로 수신할 수 없도록 돼 있어 폐쇄회로 텔레비전이라고도 한다. CCTV는 때로 Industrial Television의 약어인 ITV로 불리기도 하는데 방송텔레비전 이외의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정보 전달용 등으로 그 용도가 다양하며 특히 CCTV에 의한 화상정보 전송은 다른 데이터 전송이나 음성정보 전송에 비해 취급 정보량이 압도적으로 많아 현장의 분위기나 사람의 감정까지도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CTV는 기본적으로 촬상장치, 전송장치 및 표시장치의 3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최근엔 여기에 기록 장치를 부가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텔레비전방식으로는 방송 텔레비전 방식에 준거하는 것이 많으며 흑백화면에서 컬러화면의 것으로 옮겨가고 있다. 컬러 방식의 것에서는 NTSC, PAL 등의 표준 컬러텔레비전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많으며 최근엔 수평 주사선수가 1,125인 하이비전방식을 채용해 고해상도를 얻도록 한 것도 나왔다. 또한 신호의 전송에는 종래엔 동축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최근엔 고화질을 위한 광섬유 케이블로 대체되어 가기도 하고 종래의 아날로그 전송방식으로부터 디지털 전송방식으로 전환해 가는 경향도 있다. 주로 침입자감시를 위한 보안의 목적으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CCTV는 보안 관련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장비이다.
--------------------------------------------------------------------------------
Channel(채널)DVR은 그 자체에 연결될 수 있는 카메라의 숫자를 채널(Channel)로 표현합니다. 즉 4 채널은 기본적으로 4개의 카메라가 연결되어 네 장소의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DVR 의 Channel은 2 Channel 부터 32 Channel 로 다양하게 있습니다. 보통 중소 업소의 경우는 4 Channel을 많이 사용하며 카메라가 10개 이상으로 많이 필요한 경우는 16 Channel 등으로 사용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Channel이 많을수록 고기능이 많이 내재되어 있으며, 카메라가 많이 필요한 경우 적은 Channel의 DVR을 많이 사용하는 것보다 Channel 수가 많은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운영상 그리고 경제적으로 효과가 있습니다.
--------------------------------------------------------------------------------
Condenser/ Capacitor(축전기)Condenser(콘덴서)는 일명 Capacitor라고도 하며 전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축전기를 말한다. 콘덴서는 서로 절연된 두개의 평판전극을 접근시켜 양극 사이에 유전체를 끼워 넣고 인력에 의해 전하를 대전하여 축적하는 부품으로 두개의 도체로 둘러싸인 공간에 전하와 전계를 가둬 정전용량을 얻고자 할 때 이용된다. 콘덴서는 직류가 통하지 않는 성질이 있어서 램프와 콘덴서를 접속한 후 건전지를 직렬 연결해도 램프에는 불이 들어오지 않는다. 이는 콘덴서가 직류를 접속한 직후에는 전류가 흐르지만 전기가 가득차면 더 이상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이다. 램프에 흐르는 전류가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셈이다. 하지만 교류를 가하면 램프가 켜지는데, 교류에서는 전원의 극이 플러스, 마이너스 등으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그때마다 서로 반대 극성의 전류가 교대되기 때문에 콘덴서에는 전기가 가득찰 틈이 없다. 극성이 바뀌면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기 때문에 교류는 통할 수 있는 것이다.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양극 사이에 있는 유전체의 유전율이나 마주보는 전극면의 면적에 비례하며, 양전극의 간격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콘덴서의 단위체적당 정전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유전율이 높은 재료나 얇은 유전체가 사용된다. 또한 적층을 통해 전극면적을 늘리는 방법 등이 이용되기도 한다. 콘덴서는 사용하는 유전체의 종류에 따라 공기콘덴서, 진공콘덴서, 가스콘덴서, 액체콘덴서, 운모(마이카)콘덴서, 세라믹콘덴서, 종이콘덴서, 플라스틱 필름콘덴서, 전해콘덴서 등으로 나뉜다. 또 정전용량이 변하지 않는 고정(Fixed)콘덴서와 정전용량이 변하는 가변(Variable) 콘덴서(일명 바리콘)로 분류하기도 한다. 플라스틱 필름콘덴서의 경우에는 각종 플라스틱 필름을 알루미늄, 주석 등의 금속박과 금속을 필름에 증착한 금속화 플라스틱 필름을 말아서 만든다.
--------------------------------------------------------------------------------
Capture(캡처) Capture(캡처)는 화면의 내용을 파일에 담는 작업이다. 주로 DVR과 같은 디지털 녹화장비에서 많이 사용한다. 데이터 통신에서 통신 회선을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면서 동시에 디스크 등과 같은 보조 기억 장치에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작업이다. 프로그램에 의하여 프린터에 전달된 출력물을 프린터에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크 등과 같은 보조 기억 장치에 파일로 저장하는 작업이다.
--------------------------------------------------------------------------------
CCDCCD(Charge-Coupled Device). 고체 촬상소자 중의 하나이며 진공관(Vacuum tube)을 대신하는 신개념의 촬상(撮想)장치(Imaging Device)이다. 기본적으로는 빛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수천만 화소를 포함하는 집적회로가 내장된 이미지 센서로서 원화상을 광학계를 이용해 고체소자에 결상시켜 그 상을 고체소자 내에서 전자적으로 주사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해 출력하는 소자를 말한다.
--------------------------------------------------------------------------------
CCD Camera렌즈로 입사된 광신호를 CCD(고체촬상소자)에서 전기신호로 바꾸고 Analog신호를 Digital신호로 변환하여 DSP에서 화상신호처리를 통해 Video신호를 출력,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카메라장치.
--------------------------------------------------------------------------------
CD(Compact Disk) 디지털화한 음성신호를 기록한 레코드판에서 레이저 광선으로 음을 재생시키는 새로운 방식의 음향기기. 일본의 소니와 네덜란드의 필립스사(社)가 공동개발, 82년에 상품화하였다. 직경 12㎝의 아크릴 수지반(樹脂盤)에 디지털 신호를 기록하는 조그만 홈을 내고 알루미늄 증기(蒸氣)를 뿜어 보호막을 씌워 완성한다. 재생시킬 때는 레이저 광선을 비춰 방사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꾼다. 이 출력을 종래의 오디오 앰프에 접속시키면 음악이 나온다. 레코드 바늘처럼 접촉부분이 없기 때문에 레코드판의 마모를 막을 수 있다. 또 디지털 녹음이므로 재생되는 음의 폭이 넓고 잡음이 없으며 음질·기능면에서 뛰어나다. 한쪽 면으로 65~75분의 녹음이 가능. 곡(曲)의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나 역전, 패스트 포워드(fast forward) 등 테이프와 같은 조작성도 가지고 있다.
--------------------------------------------------------------------------------
Connector장치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케이블을 포트나 인터페이스에 연결해 주는 장치. 대부분의 커넥터는 수(외부로 돌출된 핀)커넥터나 암(수커넥터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커넥터로 되어 있다.
--------------------------------------------------------------------------------
Console 디스플레이 모니터와 키보드 및 CCTV를 제어하는 입력장치. 콘솔의 또 다른 이름은 터미널이다.
--------------------------------------------------------------------------------
CPU(Central Processing Unit-중앙처리장치) CPU(Central Processing Unit)란 컴퓨터의 두뇌에 해당하는 핵심부분으로 명령어의 인식·해독과 실행을 제어하며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말한다. CPU는 연산논리기구, 제어기구, 레지스터(register)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연산논리기구에서는 산술연산 또는 논리연산을 담당하고, 제어기구는 프로그램의 각 명령어를 해독·명령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각 기구·장치로 보내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에 기억된 내용을 꺼내어 해독·실행한다. 또 레지스터는 주기억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나 어드레스를 일시 기억·저장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장소로 사용된다. 주기억장치(main memory)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저장하는 기능만을 갖는다.
--------------------------------------------------------------------------------
Codec(Coder/Decoder) 통신공학에서 Codec(coder/decoder)이라는 용어는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집적회로나 칩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Codec의 형태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이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능이 하나의 칩 내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장비중 개인용이나 업무용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장비는 모뎀이다.
--------------------------------------------------------------------------------
CRT / Cathode Ray Tube / 브라운관 / 음극선관 CRT는 cathode ray tube의 약자로 음극선관을 말하며 일명 브라운관이라고도 하는데, 전기신호를 전자빔(beam)으로 형광면에 쏘아 광학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장치를 말한다. CRT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시장치로서 표시품질과 가격성능비가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일반용의 화상표시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CRT는 흑백(모노크롬)CRT와 컬러CRT가 있는데 구조적으로 흑백CRT는 전자빔을 발사하는 전자총이 하나인데 반해 컬러CRT는 적색. 청색. 녹색의 전자빔을 발사하는 전자총이 3개이며 흑백CRT에는 없는 섀도마스크가 컬러CRT에는 있다는 것이 다르다. CRT의 구조와 원리를 보면 진공의 유리벌브(관)속에서 전자총이 발사한 전자빔은 전자렌즈로 집속돼 유리벌브의 목 부분에 부착된 편향요크의 자계에 의해 형광면의 소정의 위치로 향하도록 굴절돼 전자빔과 부딪친 형광체가 빛을 발하도록 한다. 표시장치의 경박단소화 추세로 새로운 용도에 대응한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발광표시장치(EL), 플라즈마표시장치(PDP) 등 새로운 표시장치가 급신장하고 있으나 CRT는 상당기간 표시장치의 주류를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화면의 폭도 대형화해 25, 27, 30인치로 커지고 가로 세로의 비율도 종래의 4:3에서 가로폭을 넓힌 16:9의 광폭TV용 CRT가 생산되고 있으며, 주사선수가 약 2배이며 화소수가 세로방향 2배, 가로방향 2.5배인 고해상도의 것이 생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형광면에 3원색의 컬러필터를 부착해 밝기를 30%이상 향상시킨 것도 선보였다.
--------------------------------------------------------------------------------
DMR - Digital Multiplex Recorder DMR은 일반적 디지털 CCTV에 사용되는 DVR에 Mulitiplexer 기능까지 탑재된 최첨단 디지털 CCTV 메인 본체입니다. 즉 일반적인 DVR이 한 차원 업그레이드된 제품입니다. Multiplexer는 디지털통신의 다중화장치로서 CCTV에서의 기능은 CCTV의 다중녹화 및 다양한 Display 모드를 설정하여 화면을 최대16화면으로 분할시켜 다중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해줍니다. Multiplexer는 일반적으로 DVR 과 함께 별도구입을 해야 하는 주변기기이지만 NUN 렌탈서비스 가 제공하는 DMR은 Multiplexer 기능까지 탑재된 최첨단 디지털장치로서 고객께서는 Multiplexer 별도구입 비용을 줄이실 수 있으며 또한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최첨단의 장비를 경험하실 수가 있습니다.
--------------------------------------------------------------------------------
DVD(Digital Video Disc) DVD(Digital Video Disc)는 기존의 CD의 저장용량을 개선해서 일반 CD크기의 디스크 1장에 기존 CD의 7배인 4.7기가바이트의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차세대 기록매체를 말한다. DVD는 초창기에 MPEG2 표준에 따라 고화질·고음질의 영화를 한 장의 작은 디스크에 담음으로써 비디오 CD보다 월등한 성능을 가지도록 한차원 높은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의 의미로 알려졌었지만, 현재는 다매체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의 의미로 통용되고 있다.
--------------------------------------------------------------------------------
DVR(Digital Video Recoding) 감시용 카메라로 입력된 영상 데이터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 동화상 국제 압축 표준인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으로 영상을 압축·복원하여 장시간 녹화 및 재생하여 볼 수 있는 고해상도의 녹화 시스템방식이다. 녹화뿐만 아니라 Motion Detection기능, Sensor와 연결녹화, Auto Pan/ Tilt/ Zoom/ Control기능 및 화상 확대, 편집 기능 등 다양한 선택메뉴 기능이 있으며, 데이터를 HDD, DAT등에 반영구적으로 보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
Distributer(영상배분기) 카메라 영상을 복수의 모니터에서 감시할 경우에 영상신호를 모니터 수량에 맞게 나누어 주는 장치.
--------------------------------------------------------------------------------
Digital zoom(DZ) - 디지털 줌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확대 표시하는 요령으로 줌 효과를 얻는 것. 렌즈 등의 하드웨어를 변경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간단하게 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기본적으로는 한정된 정보의 일부를 확대 표시하는 것이므로 화질이 나빠지는 결점이 있다. 반면 렌즈 측에 주밍(zooming)을 하는 광학 줌이 있는데 렌즈의 초점 거리를 물리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줌 효과를 얻는다. 이 방법으로 화질 열화(劣化)는 피할 수 있으나 해상도가 높은 렌즈를 사용하지 않으면 역시 화질은 떨어진다.
--------------------------------------------------------------------------------
Digital Signature 디지털 서명은 거래나 메시지 발신인이 부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메일이나 금융거래 등에 이용하고 있다. 디지털 서명은 암호화키를 포함, 유저를 확인하는 정보와 암호화 알고리즘을 활용하거나 대칭키 암호화나 공개키 암호화를 이용하면 생성된다. 공개키 버전에서 유저는 스마트카드나 터미널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에 저장된 비밀키를 이용해서 메시지에 사인하고, 수신인은 신분을 확인하기 위해 발신인의 공개키를 이용한다. 디지털 서명의 요구조건은 서명자만이 서명문을 생성할 수 있는 위조불가, 서명문의 서명자를 확인할 수 있는 서명자 인증, 서명문의 서명은 다른 문서의 서명으로 사용할 수 없는 재사용 불가, 서명된 문서의 내용은 변경할 수 없는 변경불가, 서명자가 서명한 사실을 부인할 수 없게 하는 부인 봉쇄 등이 갖추어져야 한다.
--------------------------------------------------------------------------------
Demodulation(복조) 공간을 전파해 온 피변조를 그대로 증폭해서 스피커에 가하면 소리나 음악 등을 들을 수 없다. 따라서 음성신호나 디지털 신호를 얻기 위해서는 수신한 피변조파로부터 본래의 신호파를 꺼내는 조작을 해야 한다. 이 같은 조작을 복조라고 한다. 복조 방식에도 변조와 마찬가지로 AM, FM, PM 등이 있다.
--------------------------------------------------------------------------------
DC 구동방식 렌즈DC 구동방식 렌즈는 EE(Electronic Exposure)앰프를 카메라측에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에는 갈바노 방식의 조리개 모터만을 부착하고 있어 구조가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하다. 또한 갈바노 메타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갈바노 방식이라고 부른다. 단, DC 구동방식 렌즈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EE앰프를 지닌 카메라를 사용해야만 한다.
--------------------------------------------------------------------------------
Electronic Purse 스마트카드의 특수 기능으로 금액이 적은 거래용으로 가치 저장을 위해 사용되는 특수 명령어와 메모리 영역을 가지고 있는 카드 사용 애플리케이션. 이 카드는 지갑 기능의 전용으로만 설계되어 있고, 메모리와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
Flicker(플리커) 사람의 눈은 명암의 반복 주파수가 작으면 눈에 반짝반짝 어른거리는 형상을 느끼게 되는데, 이것을 플리커(Flicker)라 하고 주위의 밝기가 밝을수록 같은 명암의 반복 주파수에서도 플리커를 느낀다. 플리커를 피하기 위해 cctv카메라는 1/100초의 전자셔터기능을 사용한다.
--------------------------------------------------------------------------------
Frame(프레임)프레임은 1초 동안 지나가는 화면 수(장 수) 입니다. 빠르면 빠를수록(1초동안 장수가 많이 넘어가면 넘어갈수록) 우리 눈에는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느껴집니다. FRAME 처리 기능은 DVR의 성능 및 가격을 결정하는 요소 중에 한 부분입니다. 많은 프레임을 처리하는 것일수록 그만큼 성능 및 가격대도 올라갑니다. 일반적으로 극장에서 상영되는 영화의 FRAME은 24 FRAME 입니다. 4 Channel 의 DVR 이 30 FRAME으로 처리가 된다는 것은 4개의 Channel 이 합해서 30 FRAME을 나타내며 각각의 Channel은 4/30 Channel을 나타내게 됩니다. 즉 4개의 화면에서 각각의 화면이 4/30 Channel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4 Channel DVR의 30 Frame이면 사물 식별 가능하고 화면도 깨끗하여 일반적인 사용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특별히 상세한 부분을 잡거나 좀 더 고품질의 FRAME을 얻고자 할 때는 고 FRAME의 DVR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Frame Switcher(프레임 스위쳐)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1화면씩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최대 8대에서 16대까지 카메라 영상을 하나의 VCR에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모니터상에는 1개의 고정화면 또는 순차적으로 화면이 변화하여도 VTR녹화는 8개 모두 동시에 녹화된다(쿼드의 단점을 극복). 영상은 1/24초를 1FRAME으로 구성하고 VTR에 녹화하는데 이 VTR녹화시간인 1/24초를 다시 카메라의 댓수만큼 8~16등분하여 1~16개의 영상을 개별녹화시킨다. 따라서 녹화된 영상은 리얼타임영상(24frame/sec)이 아니며 구분동작으로 녹화된 영상이다. 단 4분할은 되지 않으며 재생은 반드시 Frame Switcher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
Full Duplex/ Half Duplex - 전이중방식/반이중방식전이중방식/반이중방식(Full-duplex/Half-duplex)란 데이터 전송할 때 동시에 양방향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을 전이중방식(Full-Duplex), 한 번에 한쪽 방향으로만 데이터를 보내는 것을 반이중방식(Half-Duplex)이라 한다. Full-Duplex와 달리 Half-Duplex는 일정 블록의 송신을 끝내고 나서 상대측이 수신 모드에 들어갈 때까지 이쪽에서 송신 중지 명령을 보낼 수 없기 때문에 송수신 반응이 늦다. 일반적인 cctv시스템이 반이중방식이라면 Obveration system은 전이중방식이며, 각종 cctv관련 시스템들이 디지털화되면서, 반이중방식의 시스템들이 점차 전이중방식으로 개선되어 가고 있다.
--------------------------------------------------------------------------------
Fixed Focal Lens고정 초점 렌즈, 초점거리, 화각이 일정한 렌즈로 단초점 렌즈라고도 말한다.
--------------------------------------------------------------------------------
Focus(초점) 볼록 렌즈에 평행 광선을 입사하면 어느 한 점으로 모인 점이 렌즈의 초점이다.
--------------------------------------------------------------------------------
Frame Relay LAN을 고속으로 연결해 주는 패킷 스위칭 기술. 프레임 릴레이는 사용자의 장비와 WAN을 연결해 주는 인터페이스를 말하며, WAN 내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나 프로토콜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
Freeze 영상을 정지시켜 정지 화상으로 하는 것으로, 프레임 또는 필드 메모리에 기억하여 정지 화상으로 표시하거나 비디오(VCR)의 1프레임을 재생해서 정지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
Gateway(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이다. 라우팅의 관점에서 보면, 인터넷은 많은 게이트웨이 노드들과 호스트 노드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라 할 수 있는데, 네트워크 사용자들의 컴퓨터들과 웹페이지와 같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컴퓨터들이 바로 호스트 노드들이며, 일반 회사의 네트워크 내에서 트래픽을 통제하는 컴퓨터들이나, 인터넷 서비스제공자들의 컴퓨터가 바로 게이트웨이 노드들이다.
--------------------------------------------------------------------------------
Gain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할 때, 변환 비율을 의미합니다. GAIN이 커지면 적은 빛을 사용하여 큰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때문에 화면에 노이즈가 커지게 됩니다.
--------------------------------------------------------------------------------
Genlock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를 외부 동기의 수단으로 사용하여 동기를 맞추는 방법으로 외부 동기로는 Composite Video, Composite Sync. 수평 또는 수직 동기 신호가 사용된다.
--------------------------------------------------------------------------------
Geometric Distortion 편향 비선형성 혹은 뿔뿔이 흩어진 자장에 의해 발생하는 모니터 상에서 화면의 기하학적 불완전함을 말한다. 예를 들면, 사다리꼴처럼 재현된 사각형 혹은 계란 모양으로 재현된 원등이다
--------------------------------------------------------------------------------
Ghost수신된 영상에 그림자가 생기는 현상으로 원 화상의 좌, 우에 나타나게 된다. 이것은 2차 신호 전송 조건의 결과 인데, 원래의 신호보다 빠르거나 늦을 때 화면상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
GPS(Global Position System) 위치 추적 시스템. 인공위성과 수신하여 자기의 위치를 탐색하는 위치 추적 장비로서 자신의 현 위치에 대한 경도와 위도 및 고도 등에 대한 정보의 수신이 가능. HDD(Hard Disk Drive)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컴퓨터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로서 하드디스크 작동장치라고도 한다. 컴퓨터 보조기억장치는 오디오용 기록·재생장치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 마그네틱테이프 소리를 녹음·재생시켜주는 카세트테이프리코더와 유사한 컴퓨터 보조기억장치가 마그네틱테이프 드라이브라면 음반과 음반에 소리를 녹음·재생시켜주는 픽업장치를 가진 턴테이블과 유사한 형태가 HDD이다. HDD가 오디오용 턴테이블과 다른 점은 음반에 해당하는 하드디스크에 자성 코팅이 돼있어 저장된 정보의 판독뿐 아니라 기록도 가능하다는 점이다. HDD는 구조면에서 음반과 픽업으로 구성된 턴테이블과 같을지라도 컴퓨터 보조기억장치로 쓰이기 위해 매우 정밀하게 만들어져있어 기술명에서는 턴테이블과 비교도 안될만큼 고도기술을 요한다. HDD는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음반에 해당하는 하드디스크와 픽업에 해당하는 헤드를 밀폐된 공간에 일체화시켰으며 필요에 따라 하드디스크와 헤드수를 늘릴 수 있다. HDD는 하드디스크와 헤드수에 따라 2천만자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20MB부터 1억자에 해당하는 1GB까지 용량이 다양하고 크기도 하드디스크의 지름이 1.4인치인 것에서부터 2.5인치까지 여러 가지이다. HDD는 기술발전과 더불어 고용량화 초소형화되고 있으며 원하는 정보를 찾아내는 시간(탐색시간)도 짧아지고 있다. 음악을 듣고자 할 때 카세트테이프보다 음반에서 원하는 곡을 찾아내기가 쉽듯이 HDD가 마그네틱테이프 드라이브보다 탐색시간이 훨씬 짧다.
--------------------------------------------------------------------------------
High Resolution(고해상도)High Resolution(고해상도)은 출력 장치에 나타나는 정보의 질을 대변하는 것으로 프린터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은 화면 출력 장치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는 화면 출력 장치에 존재하는 픽셀(화소)의 갯수나 특정한 모드에 따라 프로그램에서 화면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픽셀의 갯수를 해상도라고 하는데, 이러한 픽셀이 많이 사용되는 것을 고해상도라고 한다. 예를 들면 개인용 PC에서는 최소 640×480의 해상도, 워크스테이션에서는 1000×1000 이상의 해상도를 고해상도라고 하며, 프린터 장치에서는 1인치 안에 300개 이상의 점이 출력되는 장치를 고해상도라고 한다.
--------------------------------------------------------------------------------
Housing(하우징) 카메라를 먼지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외관상 깔끔한 이미지를 주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로 장소와 설치 위치에 알맞게 선택해서 사용한다. 또 내부에 온도 조절장치도 설치가 가능해 극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하우징의 종류는 옥내일반용 (간이방진방수형 / 완전밀폐형 / 통풍형 ), 옥외일반용 (간이방진방수형 / 완전밀폐형 / 통풍형), 특수용 (강제 공냉형 / 수냉형 / 방폭형 / 특수보호용 / 기타용도)이 있다.
--------------------------------------------------------------------------------
HotDog AE카메라(Automatic Exposure control Camera) AE카메라란 자동노출조정 카메라를 일컫는다. 피사체에 카메라를 향하고 셔터를 누를때 언제나 표준적인 노광량(露光量)을 얻을 수 있도록 피사체의 밝기에 따라 셔터속도나 렌즈조리개 또는 두가지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가진 카메라이다. 미리 렌즈의 조리개를 맞춰놓으면 그에 대응하는 셔터속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조리개우선식AE, 미리 맞춰놓은 셔터속도에 대응하여 렌즈조리개가 변화하는 셔터우선식AE, 렌즈조리개와 셔터속도가 일정한 조합(組合)으로 함께 변화하는 프로그램식AE 등 3가지 방식이 있다. 그러나 AE촬영은 배경의 밝기가 피사체의 밝기와 극단적으로 다를 경우에는 표준적인 노광(露光)을 얻을 수 없는 결점이 있다.
--------------------------------------------------------------------------------
Hub 네트워크 장비로 호스트나 라우터들이 한 곳에 연결되어 있는 장비를 말한다. 예를 들면 허브는 가정에서의 두꺼비집에 비유할 수 있다. 하나의 주전력선이 가정으로 연결되면 이것은 두꺼비집에 연결된다. 주전력선이 연결된 두꺼비집에 여러 가지 회로가 연결되어 가정에 전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것처럼 허브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할 수 있는 중심적인 영역이다. 네트워크상의 정보는 허브를 통해 목적지로 전달된다. Imaging Range(촬상범위)CCTV시스템에서 렌즈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점의 하나가 카메라의 위치에서 '어떤 거리와 어떤 범위내에서 피사체를 촬영(촬상)할까'를 선정하는 것이다. 이를 렌즈의 촬상범위(Imaging Range)라고 한다. 통상 촬상범위는 렌즈의 촛점거리와 사용카메라의 촬성소자 크기에 따라 결정되어 진다.
--------------------------------------------------------------------------------
Image Pickup Tube(쵤상관)촬상관은 인체 중 눈의 망막에 해당되는 부분이며, cctv카메라 중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피사체에 반사된 빛을 받아서 전기적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최초의 촬상관은 진공관을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대부분 CCD(고체촬상소자)를 사용한다.
--------------------------------------------------------------------------------
Iris(조리개) 그리스 신화의 무지개의 여신 iris에서 유래된 용어로서 조도 변화에 맞추어 렌즈에 보내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말한다. 밝기가 일정한 경우에는 수동조리개(Manual Iris)렌즈를 사용하고 ,밝기가 시간대에 따라서 바뀔 경우에는 자동조리개(Auto Iris)렌즈를 사용한다. 렌즈의 구경율(Aperture)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
Image Point(상점) 광학계의 물체에서 나온 광선이 상공간에서 수렴하는 점.
--------------------------------------------------------------------------------
Image SensorCCTV 등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차량의 유무, 속도, 대기열, 차종 등을 인식하는 감지기.
--------------------------------------------------------------------------------
Image Size 카메라의 촬상소자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으로 화상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표준으로 1인치, 2/3인치, 1/2인치, 1/3인치 등이 있다.
--------------------------------------------------------------------------------
Impedance 회로 또는 소자의 전류 흐름을 방해하는 성질로 단위는 Ohm으로 표시하고, 회로에 가해진 전압과 그것에 흐르는 전류의 비율과 같다. 교류 회로에서 임피던스는 레지스턴스와 리액턴스를 포함하는 복합된 수치로 직류에서는 순수한 저항성분을 말한다.
--------------------------------------------------------------------------------
Internet 인터넷은 간단히 말해 여러 통신망들이 합쳐져 만들어진 망들의 망이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통신망을 통해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에 접속하여 자기의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고 인터넷상에 있는 중요한 여러가지 공개된 파일들을 전송받고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다른 나라에 있는 사람과 대화도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곳곳에 있는 사람들과도 서로의 의견을 나눌 수 있으며 통신을 통해 전자우편을 주고받을 수 있다. 인터넷은 각각의 다른 위치에 떨어져 있는 여러 가지 다른 컴퓨터와 연결을 하기 위해서 특별한 규약(TCP/IP)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터넷 상에 연결하려는 곳이 다른 기종의 컴퓨터를 사용하더라도 서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
Internet Phone 인터넷 폰이라는 보컬텍사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들과 음성으로 대화를 나누는 것. 즉 이것은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음성 대화가 시내전화 요금만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Intrusion Detection 침입이나 침입시도를 수작업으로 또는 로그들이나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정보들을 이용하는 전문가 시스템을 통해 감지하는 것.
--------------------------------------------------------------------------------
IP (Information Provider) 정보제공자 또는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요금을 받는 사업. CAPTAIN(문자도형정보 네트워크 시스템)이나 CATV에서는 방송 측이 매력 있는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IP가 충실하지 못하면 이용자들이 이용하지 않는다. CAPTAIN과 CATV의 보급에 따라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
IP Address 숫자로 이루어진 각 컴퓨터의 인터넷 상에서의 주소. 도메인 주소와 달리 숫자를 사용하며 실질적으로 컴퓨터가 인식하게 되는 주소. 예) 203.255.112.1
--------------------------------------------------------------------------------
IP Splicing/ Hi-jacking 화동중인 안정된 세션을 가로채서 침입자가 마음대로 접목시키는 공격법. IP도용 공격은 인가가 이루어진 후에 일어날 수 있으며, 침입자는 이미 허가받은 사용자의 역할을 가장할 수 있다. 세션이나 네트워크층에서의 암호화를 IP도용공격에 대한 주요 방어책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TCP/IP프로토콜의 구조적 결함이다. 즉 TCP 시퀀스번호, 소스라우팅, 소스어드레스를 이용한 인증 메커니즘 등을 이용한 방법으로서 인증 기능을 가지고 있는 시스템에 침입하기 위해 침입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을 신뢰성 있는 호스트로 위장하는 방법이다.
--------------------------------------------------------------------------------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접속 등의 서비스를 대가를 받고 영리사업으로 하고 있는 단체, 회사. 인터넷 서비스 제공기관.
--------------------------------------------------------------------------------
ISDN(Integrated Sevice Digital Network) 음성, 데이터, 팩스 등 다양한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정보전송기술로서 전화, 데이터 통신, 팩시밀리 등 서로 다른 통신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디지탈 통신망. 디지털 회선을 이용해서 음성을 포함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며 각종 통신 서비스의 형식을 통합하여 하나의 회선으로 일원적으로 제공한다. 일반 가정이나 기업을 연결하고 있는 전화중심의 아날로그 통신망을 데이터 통신 등 전화 이외의 서비스에도 적용시킨 디지털 회선망으로 변화하는 것이 ISDN의 목적이다. 이용자가 있는 곳까지 디지털 회선이 되기 때문에 모뎀이 없어도 직접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
IPX/SPX 노벨사의 네트워크 OS인 NetWare를 구성하는 프로토톨 중 하나이다. IPX는 서로 다른 2개의 통신망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을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규약으로 쉽게 예를 들면 어떤 하나의 사무실에 설치된 LAN에서 다른 사무실의 LAN으로 연결된 컴퓨터에 자료를 전송하기 위해, LAN의 경계를 통과하려고 할 때 IPX를 사용하는 것이다.
--------------------------------------------------------------------------------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JPEG은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의 줄임말로 컬러 정지화상의 압축과 복원에 대한 표준화를 추진하는 ISO(국제표준화기구)와 ITU-TS(舊 CCITT;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센터)의 산하에서 결성된 국제표준화 그룹의 이름을 말한다. JPEG이란 2진 화상을 제외한 그레이 레벨에서부터 컬러 화상에 이르는 거의 모든 종류의 정지화상의 압축 및 부호화를 위한 국제 표준을 정의하고 있고 멀티미디어 표준도 이 단체에 의해 제정되었다. JPEG은 무손실 압축기법과 손실 허용 압축기법은 물론이고 순차 재생과 점진 재생을 모두 지원한다.
--------------------------------------------------------------------------------
KernelOS의 중앙 모듈. OS의 일부로서 제일 먼저 로드되어서 주 메모리에 상주한다. 메모리 내에 있기 때문에 OS나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역할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크기도 작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커널은 메모리 관리, 작업 관리, 디스크 관리 등의 역할을 한다.
--------------------------------------------------------------------------------
key Management키 관리란 암호키를 생성, 등록, 인증, 등록폐기, 분배, 설치하는 것은 물론 추론하고, 보관하고, 폐기하고, 사용종결하고, 되살리는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운영관리를 지칭함. 키 관리는 사용되는 키와 알고리즘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고, 목적은 시큐리티침해의 가능성을 줄이고, 침해를 받은 경우, 그 피해를 최소화하고, 가능성 있는 불법침입이나 키의 변경을 포착하는데 있다. 키의 관리는 사용자가 직접 할 수도 있고, 키관리센터(KMC: Key Management Center)가 대신해줄 수도 있다. 이 KMC는 사용자로부터 어떤 형태로든 믿어져야 하며, 한 네트워크에 하나 이상의 KMC가 있을 수 있다.
--------------------------------------------------------------------------------
KRNIC(Korea Network Information Center) KRNIC에서는 국내 인터넷의 기능 유지와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인터넷 이용 기관을 위한 IP주소 및 도메인 등록 서비스를 수행하고, 주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국제적으로는 한국을 대표한 인터넷 공식 기구로, 상위 인터넷 정보센터(APNIC)와 정보교환, 업무협력, 기술 교류 등의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이름(도메인명)은 "유일"해야 하기 때문에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중복"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역할을 하며 중재를 하는 곳이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이다. 국제적으로는 InterNIC이 있고 태평양 지역에는 APNIC이, 한국에는 KRNIC이 있다. .com, .net, .edu, .org, .gov 등의 관리는 InterNIC에서 하며 .co.kr, .nm.kr, .go.kr, .ac.kr, .or.kr 등의 관리는 한국 전산원(KRNIC)에서 담당한다.
--------------------------------------------------------------------------------
LAN (Local Area Network, 근거리통신망) 수 km이내의 건물 내, 건물 간에서의 컴퓨터끼리의 데이터 전송 방식. Ethernet, Token Ring, FDDI 등의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소규모 지역에 걸쳐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로서의 대부분의 LAN은 단일 건물이나 건물 내의 그룹들로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전화선이나 라디오 주파수를 통해서 LAN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연결된 LAN을 WAN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LAN은 워크스테이션과 PC를 연결하는 것이다. LAN 내에 있는 각각의 노드(개인 컴퓨터)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CPU를 갖고 있지만, LAN 상에 있는 어떠한 데이터나 장치에도 액세스할 수 있다. 이 말은 사용자가 데이터뿐만 아니라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장치도 공유할 수 있다는 뜻이다. 사용자들은 또한 LAN을 사용해서 e-mail이나 채팅을 통한 통신을 할 수도 있다. LAN장비로는 LAN Card, Hub, Cable, Repeater, Gateway 등이 있다.
--------------------------------------------------------------------------------
LCD (Liquified Crystal Diode, 액정표시장치) LCD는 노트북이나 다른 소형 컴퓨터들의 화면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LED(Light-Emitting Diode)나 플라즈마 기술들처럼, LCD도 CRT보다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LCD는 빛을 내뿜는 것이 아니라 빛을 저지하는 원리로 동작하기 때문에, LED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보다 전력소모가 적다.
--------------------------------------------------------------------------------
Leased Line (전용선) 영구적인 전화 접속 상태. 보통 멀리 떨어진 두 지점을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며, 전용선의 특징은 항상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요금은 한 달을 기준으로 계산이 된다. 요금을 결정짓는 주된 요소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와 회선 속도이다.
--------------------------------------------------------------------------------
Light Wave (광파) 특히 광의 파동성을 강조할 때 사용되는 용어.
--------------------------------------------------------------------------------
Linux (리눅스) Linux란 워크스테이션에서 주로 사용되는 유닉스와 유사한 운영체제. 중대형급 이상에서 사용되는 유닉스와는 달리 386급 PC에서도 활용할 수 있고 유닉스와 거의 비슷한 기능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리눅스는 핀란드 헬싱키 대학 Linus Torvalds에 의해 개발됐으며 91년 11월 버전 0.10이 공개되면서 보급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리눅스는 그래픽 환경의 X와 텍스트 형태의 언어, TEX, TCP/IP의 네트워킹을 지원하고 응용 프로그램들 역시 다수 개발돼있기 때문에 유닉스와 거의 유사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1960년대 벨연구소에서 처음 개발돼 공개소프트웨어 형식으로 배포되던 유닉스의 상용화가 리눅스 탄생의 배경이 된 것이다. 당시 많은 프로그래머들은 유닉스와 같이 강력하면서도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고 소스 역시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운영체계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리눅스 개발 작업에 동참하게 됐다. 리눅스는 소프트웨어 버전업 과정에서 개발자들이 독립적으로 만든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이 발표됐는데, 레드핫(Red Hot)소프트웨어에서 만든「레드햇」과「슬랙 웨어」등이 현재 인기를 끌고 있다.
--------------------------------------------------------------------------------
Loop Sensor 도로에 동축선을 매설하여 차량의 유무, 속도, 크기 등을 감지하는 장치.
--------------------------------------------------------------------------------
Lux 빛의 감도를 측정하는 단위(1FC-10Lux) Manual Iris Lens Iris를 고정위치로 설정하기 위한 수동 조정렌즈. 일반적으로 고정된 밝기에서 사용된다.
--------------------------------------------------------------------------------
Memory Card 마이크로프로세서나 계산 능력은 없지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카드.
--------------------------------------------------------------------------------
Micro- processor 싱글칩상에서 설비를 처리할 수 있는 마이크로 칩 컴퓨터. 온칩 마이크로프로세서로도 불리는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레지스터와 캐시메모리를 포함하고 있는 칩상의 컴퓨터 프로세서이다. 또 마이크로컴퓨터와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동일 칩상에 데이터와 프로그램 메모리를 갖추고 있다.
--------------------------------------------------------------------------------
Microwave(극초단파) 주파수가 1GHz이상인 전자파. 위성을 이용한 통신 등 무선통신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
Minimum Illumination(최저조도/최저 피사체 조도) 카메라에 필요한 피사체 조도의 최저한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최저 피사체 조도의 최종한도에서 사용하는 것은 화상을 거의 포착하기가 어려우므로 카메라의 최저조도가 높을수록 정확한 화상의 포착 확률이 높아진다. 보편적으로 최저조도가 낮을수록 성능이 우수한 카메라이다.
--------------------------------------------------------------------------------
Modulation(변조) 차량번호판이나 음성신호를 직접전파로 공중에 방사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음성신호나 차량번호의 디지털신호보다 주파수가 높고 공중에 방사하는데 적합한 전기적 신호에 음성신호나 디지털 신호를 어떤 신호로 운반한다는 의미에서 반송파라고 하며, 전송하고 싶은 신호를 전기진동으로 바꾼것을 신호파라고 한다. 신호파에서 변조를 받고 공중에 방사된 반송파를 피변조파(Modulated Wave)라고 한다.
--------------------------------------------------------------------------------
C-Mount/ CS-Mount (C마운트/CS마운트)CCTV용 렌즈에는 2가지 종류의 렌즈 마운트가 있다. 최초로 채택된 것이 C마운트이며, C마운트렌즈는 플랜지 백거리가 17.5mm이다, C마운트를 개량해서 새로 채택된 것이 CS마운트이며, CS마운드렌즈는 플렌지(렌즈의 마운트가 시작되는 부분)백거리가 12.5mm이다. 최근에 개발된 카메라는 이들 2종류의 렌즈마운트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카메라와 렌즈를 적절히 세팅하기 위해서는 이 점이 매우 중요하다. C마운트렌즈는 5mm어댑터를 사용하면 CS마운트카메라에도 사용이 가능한 반면, CS마운트렌즈는 C마운트카메라에는 사용할 수 없다. 통상 C마운트렌즈는 허용 이미지 크기에 따라 1/3, 1/2, 2/3, 1인치용이 있다.
--------------------------------------------------------------------------------
Motion Detection (모션디텍션)야간 또는 사람의 왕래가 빈번하지 않는 지역에서 물체가 움직이는 것만을 녹화하게 하는 장비로 메모리에 일시 저장된 영상신호를 전단계 화면과 비교하여 변화된 부분이 어느선 이상 발생했을 때만 저장하도록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MUX - Multiplexer (멀티플렉서) 멀티플렉서(MUX)는 디지털통신의 다중화장치인 Multiplexer의 약자로 복수회로의 입력신호 중에서 선택제어 신호에 의해 어느 하나의 입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회로에 실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선택 논리회로이다. MUX는 다수의 호스트컴퓨터 또는 단말기에서 작성된 데이터를 하나의 통신회선을 이용,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회로장비로 회선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최근 이용이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통상 MUX는 STDM(통계적 시분할방식)기법이나 TDM(시분할방식)기법을 채택, 통신채널을 공유토록 하는데 대부분 모뎀(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복조하는 장치)과 단말기 사이에 설치·운용된다. CCTV주변기기로 8채널,16채널의 제품이 있으며 기능으로는 다중녹화 및 다양한 display모드를 설정하여 화면분할을 최대 8화면~16화면으로 다중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
Noise (노이즈)전기 에너지의 임의 송출이나 상호간섭을 말한다. 비디오 신호에 있어서 왜란, 재현된 화상의 Grainy효과 혹은 Snowy효과. 화상에서 노이즈는 수많은 원인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노이즈 현상은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최대 이득의 자체 증폭기로 아주 낮은 신호 라이트 레벨에서 동작할 때 분명하게 나타난다.
--------------------------------------------------------------------------------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FCC와 미국 컬러 TV표준을 제정한 국제TV시스템위원회 또한 그 방식. NTSC방식은 1953년 미국에서 컬러TV표준방식으로 채택하였으며, 일본에서도 1960년 6월에 표준방식으로 채용하였고, 한국은 1980년에 컬러방식의 방송도입문제로 각계에서 NTSC, PAL등 방식에 대해 의견이 있었으나 주무 관청인 전파관리국은 이미 할당된 채널기준과 운용되고 있는 방송장비의 특성을 고려, NTSC방식을 채택하였다. CCTV시스템에서는 통상적으로 NTSC방식을 주로 채택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대부분의 국가들이 PAL 또는 NTSC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Object Point (오브젝트 포인트)물체공간에서 물체의 한 점으로서 이상적인 점광원으로 간주한다.
--------------------------------------------------------------------------------
Optical Fiber Cable(광케이블) 광케이블은 플라스틱이나 유리 섬유로 만들어진 매체를 말하는 것으로, 광 파이버 케이블(Optical Fiber Cable)이라고도 부른다. 광케이블은 가볍고 얇아서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높은 전송 속도와 낮은 에러율을 제공하여 고속 전송과 높은 신뢰도를 필요로 하는 응용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매체다. 광케이블의 규격은 core와 clad의 직경으로 규격을 구분하는데, 예를 들어 core의 직경이 100micron이고, clad의 직경이 140micron인 케이블은 100/140 케이블로 부른다. 현재 상용화된 케이블은 50/125(공중망용 표준), 62.5/125(LAN 표준), 85/125(벨에서 제시한 규격), 100/140(LAN에서 사용) 등이 있다. 각 규격은 서로 다른 환경에 적합하도록 개발됐고, 현재까지는 LAN에서 100/140 규격이 많이 사용돼 왔지만, IEEE 802 위원회에서 62.5/125를 표준으로 정한 이후로는 62.5/125 규격으로 기울고 있다. 광케이블의 특성은 한마디로 높은 전송 속도와 낮은 에러율로 표현할 수 있다. 수백Mhz에서 3Ghz까지의 높은 대역폭에서 1Gbps 이상의 전송 율을 제공해 500Mhz가 상한선인 동축케이블에 비해 훨씬 높은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리피터 없이도 수km 이상 연결할 수 있어 서로 떨어진 건물에 있는 버스나 링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는데 적합하다. 그 중에서도 외부의 전자기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간섭, 충격, 누화에 잘 견디는 등 극도로 우수한 잡음 특성을 가지고 있어 1/109 이상의 낮은 에러 율을 유지한다. 따라서 에러 검출과 재전송에 필요한 제반 절차가 감소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에너지의 발산이 없어 다른 기구에 영향을 주지 않고, 중간에 tap을 만들기가 어려우므로 도청으로부터 안전하다. 배선의 측면에서 본다면 광케이블은 동축케이블이나 트위스트 페어보다 부피가 적고 가벼워 설치 공간도 적게 들고 배선을 위한 부대설비도 최소화된다. 가격이 비싸기는 하지만 장거리에서도 100Mbps 이상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하고, 트위스트 페어의 간편성과 동축케이블이 가진 넓은 대역폭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 완벽한 전송 매체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연결용 송수신기가 고가이고 케이블과 장비간의 접속 기술이 취약해 사용 범위가 제한돼 있으나, 데이터 증가로 ethernet이나 토큰링의 처리 속도가 문제로 부각됨에 따라 LAN의 백본(backbone)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돼 있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보면 광케이블은 LAN의 백본으로 정착하고, 전송 속도, 보안이 중요시되는 분야에서는 단말 부분에까지 널리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Pan/Tilt Driver 고정 펜틸트와 전동 펜틸트의 2종류가 있다. 고정 펜틸트는 수평 방향 15~30도, 수직 방향 45도 정도 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고정한다. 전동선회대는 카메라의 촬상방향을 상·하·좌·우로 원격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많은 종류가 있다.
--------------------------------------------------------------------------------
Paraxial Focus(근축초점) 근축광선에 따른 초점
--------------------------------------------------------------------------------
Pixel(화소)고체 촬상소자의 미세 광감지 사이트로서 수백~수천개가 있으며 텔레비전이나 전송사진 등에서 화면을 구성하고 있는 최소단위의 명암의 점(點)을 말한다. 신문이나 잡지의 망판(網版) 사진을 확대경으로 보면 일정간격의 많은 점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점의 크고 작음에 따라 그림의 윤곽이나 농담(濃淡)이 표현되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이 점이 그림을 구성하기 위한 최소단위이고, 더 작은 것(망판사진에서는 정확히는 흑점의 간격보다도 작은 것)은 표현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은 최소단위를 텔레비전이나 사진전송에서는 화소라고 한다. 텔레비전이나 사진 등 화면의 재현을 하는 것에서는 반드시 이 화면의 최소단위가 있고, 사진에서는 필름이나 인화지 위의 은입자(銀粒子)크기, 텔레비전에서는 브라운관 등의 전자빔 굵기가 한계이다. 화면 전체의 화소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정밀하고 상세한 재현화면을 얻을 수 있다. 대체적인 화소수는 8mm 필름(더블 방식)은 5만, 수퍼8 또는 싱글8의 새로운 방식은 면적이 구(舊)방식의 약 1.5배, 따라서 화소는 7만 5000, 16mm 필름은 25만, 35 mm 필름은 116만 525개(수평주사용 톱니파수 : 미국·한국·일본의 표준방식), 텔레비전은 15만 개이다.
--------------------------------------------------------------------------------
(Actual) Pixel - 유효화소수 CCD칩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전체 화소수를 총화소수라고 이야기하고, 이에 비하여 유효화소수라고 하는 것은 실제로 영상의 형성에 관계하는 화소의 숫자를 이야기한다. CCD의 주변부분은 신호를 보내는 출력부 등이 있어서, 이 부분(약10%)은 영상의 형성에는 관계가 없다. 예를 들어, 현재 많이 보급되어 있는 41만화소 CCD에의 유효화소수는 38만이 보통이다. 감시카메라 기능의 한가지 판단 기준으로서 화소를 보기도 하지만 이 경우, 총화소수보다 유효화소수를 보는 것이 정확하다.
--------------------------------------------------------------------------------
Pre-Position Lens 렌즈 제어기에 줌/포커스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가변 저항기(Potentiometer)를 사용하는 줌 렌즈. 사용자가 초기 설정 후에 줌/포커스를 매번 조정할 필요 없이 서로 다르게 설정된 화면을 빨리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PAL(Phase Alternate Line) 대체적으로 Bruch of telefunken에 의해 개발된 컬러 부호화/전송시스템. PAL이란 Phase Alternate Line의 약자로서, PAL부호화 시스템에서 컬러 정보는 전송된 컬러에 의존하면서 특정한 진폭과 군집신호와 연관된 위상관계를 가지는 부반송파에 의해 나타난다. 매번 두 번째 라인마다, PAL시스템에서 복조화 과정에 의해 신호 위상은 180°반전되고 전송경로에 의해 재현된 위상 혹은 진폭에러는 평균화, 최소화된다. PAL은 지구상에서 UHF와 VHF전송에 양쪽으로 이용된다. 대체적으로 대부분의 국가들이 NTSC방식과 PAL방식의 두가지 전송방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쓰고 있다.
--------------------------------------------------------------------------------
Pinhole Lens 카메라를 몰래 숨겨서 사용하기 위해서 총알형태의 작은 크기로 만든 렌즈로서, 핀홀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를 핀홀카메라라고 한다. 해외에서는 Bullet Camera(총알형 카메라)라는 표현이 일반적이다.
--------------------------------------------------------------------------------
Aperture 개구율(Aperture) 촬상소자의 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렌즈의 개구율을 지칭한다. 흔히 렌즈의 개구율은 조리개의 조정에 의해 제어되며, F의 숫자(F-number)가 증가(ex)f1.4, f1.8, f2.8 등)함에 따라 촬상소자에 도달하는 빛의 양은 감소한다.
--------------------------------------------------------------------------------
AWB AWB(Auto White Balance) 감시용으로 사용하는 칼라카메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카메라 설치장소에 따라 아침과 저녁으로 시간에 따라 색온도가 3000(도)K부터 7000(도)K까지 변하게 되는데 이 영향으로 모니터 화면의 색 변화가 심해지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AWB(Auto White Balance 자동 색온도 보정장치)기능을 추가하여 자동적으로 색의 균형을 맞추어 자연스러운 화면을 볼 수 있게 하고 있다.
--------------------------------------------------------------------------------
Address 주 메모리나 디스크 상의 데이터의 위치 또는 네트워크 구성 요소를 구분해 주는 이름을 말한다. 기억장치의 특정한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숫자, 이름, 레이블 등의 값으로 기억장치는 단위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 요소들의 모임으로 구성되며 각 요소는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있다. 어떠한 정보나 신호가 통신망을 통해 전파될 때 그것의 출발지점이나 목적지를 나타내는 숫자나 이름 혹은 패턴이다.
--------------------------------------------------------------------------------
Automatic Iris Lens 카메라 촬상소자의 면에 항상 적절한 빛이 입력 되도록 자동으로 개구율을 조절할 수 있는 렌즈.
--------------------------------------------------------------------------------
Algorithm Algorithm(알고리즘) 컴퓨터 프로그램은 정교한 알고리즘들의 집합이라고 간주 할 수 있다. 수학이나 컴퓨터 과학에서 말하는 알고리즘은, 보통 반복되는 문제를 풀기 위한 작은 프로시저(procedure)를 의미한다.
--------------------------------------------------------------------------------
Quad Splitter(4화면분할기) 4개의 개별영상을 입력받아 1개의 화면에 4분할해서 동시 감시하는 장비이며,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컬러, 흑백전용과 컬러와 흑백이 가능한 제품 등이 있다. 1개의 화면에 최대 4개까지 화면이 분할되기 때문에 17"이상의 모니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모니터 화면이 너무 작으면 제대로 영상을 감시하기 어렵다.) 단점으로는 화면에 보고 있는 상태로만 녹화가 된다. 즉, 4분할 상태에서 녹화하고, 다시 재생하였을 때 1개의 확대화면으로는 볼 수 없다. 중소형SYSTEM에 적합한 기기이다.
--------------------------------------------------------------------------------
RF Module RF모듈이란 통신기기의 송수신 고주파 회로부를 하나로 집적한 것으로, 모든 무선 통신기기는 음성신호 주파수를 멀리 보낼 수 있도록 고주파화 한 후 이를 안테나로 받아 다시 원래의 주파수로 낮추는 역할을 하는 고주파(RF)부와 고주파 신호를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게 해주는 베이스밴드부, 로직부 등 크게 3개 부분으로 구성돼 있는데 RF모듈은 바로 고주파부를 하나의 모듈로 구성, 상품화한 것을 말한다. RF모듈은 통신기기 시장에서는 최근에야 유망사업으로 급부상하고 있지만 가전부문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상품화돼 왔다. TV나 VCR, 위성방송 수신용 튜너 등은 바로 RF모듈의 독립 상품명이다. 통신단말기 중 RF모듈을 채용하는 제품은 현재 900MHz 무선전화기에서 본격화되고 있으나 앞으로는 휴대폰, 개인휴대통신(PCS)용 단말기 등으로 점차 확산될 것으로 예상돼 RF모듈이 독자적인 사업영역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처리시간이 매우 짧고 간단한 명령만을 골라 그것들을 조합한 명령세트에 의해 종래의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보다 처리를 고속으로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CISC프로세서는 고기능화된 명령은 다른 언어에는 거의 사용할 수 없거나 또는 제어회로가 복잡해져 칩(chip)상의 많은 부분을 설계 곤란한 랜덤(Random)논리가 점유하게 되어 명령실행 파이프라인의 혼란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많았다. 반면 RISC는 종래의 기계어와 마이크로 명령의 중간 레벨로 어드레싱을 소수로 제한하고 있으며 LSI(고집적)화가 용이하고 파이프라인에 의한 명령의 고속화가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으며 ①모든 명령은 1클럭(스위치개폐를 제어하는 순간적인 신호)으로 실행, ②모든 명령은 1워드 길이로, ③연산은 레지스터사이에서만 실행, ④명령은 31종류로 매우 적으며, ⑤큰 레지스터파일(레지스터윈도라고도 불림)을 갖는 특징을 지닌다.
--------------------------------------------------------------------------------
Receiver Unit 중앙 관제실에서 멀리 떨어진 카메라 단말부에 설치되어 원격제어 송신기 (Transmitter)로 부터 데이터를 받아 단말부의 카메라, 줌렌즈 전동선회대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기
--------------------------------------------------------------------------------
Resolution(해상도) 텔레비전이나 팩시밀리의 화상 디테일 콘트라스트(정세) 표현능력의 척도를 말한다. 해상도는 화면의 정세성을 나타내는 척도, 즉 화상의 섬세한 부분이 어느 정도 세밀하게 재현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로 해상도 측정용 패턴을 사용해 한계 해상도의 가닥(주사선)수나 진폭변조도 특성으로 그 척도를 나타내는데 기본적으로는 화소수가 많을수록 해상도가 높아진다. 텔레비전 화면에 균일 간격으로 번갈아 나타나는 흑백의 수평 방향선을 화면 높이속에 몇 개까지 나타낼 수 있는지로 수직 해상도를 나타내며, 화면 높이와 같은 길이로 된 흑백의 수직 방향선을 가로폭 속에 번갈아 몇 개가 재현되는 지로 수평 해상도를 나타낸다. 해상도는 흑백의 선이 교차하는 선의 폭이 화면 높이의 N분의 1일 때 N가닥(본)이라고 하는 수치로 표현하며, 레스터(raster:일정 영역 내 주사선군의 패턴)의 수평 방향 길이와 같은 거리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테스트 차트의 선의 가닥수로 그 해상도를 표시한다. 해상도는 수평해상도와 수직해상도가 있지만 촬상관식 카메라는 화면중심부의 수평해상도를 표시한다. 수직해상도는 주사선의 수에 따라 결정되며 한국의 표준 TV방식에는 주사선수가 525Line, 수직해상도는 350Line이다.
--------------------------------------------------------------------------------
Sens up 조도가 낮으면 일반적으로 카메라 감도도 낮아져서 피사체가 흐리게 나오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는 위한 기능입니다. 그러나 별과 같은 반사되는 빛이 적은 사진을 찍을 때 카메라의 셔터를 오래동안 열어놓고 찍는 사진촬영기법이 있는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낮은 조도 환경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때에 카메라의 셔터속도를 늦추어 피사체에 많은 빛을 받아 감도를 높여 주는 기능입니다.
--------------------------------------------------------------------------------
S/N(Signal and Noise) 색신호에 동반하는 잡음(노이즈)성분의 양을 수치로 표시한 것. 신호(SIGNAL; S)레벨과 잡음(NOISE; N)을 표시하며, 단위는 dB이다. 이 수치가 높으면, 노이즈가 작음을 표시하며 보다 깨끗한 화면의 구현을 의미한다. 최근의 CCTV카메라 중에서 적은 조도에서도 선명한 화면구현을 위하여 자동이득조정회로 AGC(Automatic Gain Control)가 부착된 카메라가 많지만 AGC회로가 동작되는 경우 카메라의 감도가 향상되는 만큼 S/N비가 저하된다. 일반적으로 S/N비가 40db이상이면 잡음이 거의 없는 화면구현이 가능하며, S/N비가 32db~40db일 경우 약간의 잡음의 가능성이 있고, 32db미만일 경우에는 정상적인 화면구현이 어렵다.
--------------------------------------------------------------------------------
Synchronism(동기) 비디오 카메라가 1초에 30매의 화상을 촬영하고 동화면을 만드는 과정 중에서 1매를 촬상하는데 사용되는 타이밍을 동기라고 부른다. 동기에는 수평동기와 수직동기가 있고 CCTV카메라를 동작시키는 데는 이러한 동기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통상 동기는 카메라 내부에서 신호를 발생하지만 특히 여러대의 카메라를 절환(scan)하여 1대의 모니터에서 수상할 경우와 수대의 카메라 영상을 1대의 모니터에 분할(split)할 경우는 외부로부터 동기 신호를 공급하여 전체 카메라 및 기기를 동일하게 동기 신호로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외부동기 방식이라 부른다.
--------------------------------------------------------------------------------
System Controller(Transmitter) 중앙관제실 등에 설치되어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카메라 단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제어수신기(Receiver)에 제어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기기로 Main Controller이다. Tape Drive테이프에 있는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장치.
--------------------------------------------------------------------------------
Time Lapse VCR 일반 VCR과는 달리 테이프상에서 기록하는 시간 간격을 길게 하여 테이프의 사용시간을 늘려주기 때문에 주 사용처인 CCTV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VCR이다. 타임랩스 VCR은 다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하며, 녹화시간에 따라 12, 24, 36, 960 시간 등 다양한 기종이 있으며, 녹화시간을 선택 할 수 있다.
--------------------------------------------------------------------------------
Transceiver(Transmitter Receiver) 아날로그나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대부분의 LAN에서 트랜시버는 NIC에 내장되어 있다. ethernet에서 트랜시버는 MAU(Medium Access Unit)라고 불린다.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정전일 경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 일반적으로 UPS는 정전 후에도 몇 분 동안 컴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RAM에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하며, 이로써 컴퓨터를 정상적으로 종료시킨다.
--------------------------------------------------------------------------------
UHF(Ultra High Frequency) 극초단파로 파장은 1에서 10㎝까지, 주파수는 300~ 3000Mc(메가사이클)의 전파이다. VHF(초단파)보다 파장이 짧고 지향성(직진성)이 강하기 때문에 Service Area (도달범위)는 제한되나 보다 많은 채널을 가질 수 있다. Vari Focal Lens(가변초점 렌즈) 가변초점 렌즈(Vari Focal Lens)는 줌 렌즈의 일종이지만 저가격을 목적으로 하고, 배율, 줌 비율이 보통의 약 2배로써 자동 조리개와 수동 조리개의 2종류가 있다. 설치 시 초점거리가 약 2배 정도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화각을 렌즈 교체 없이도 선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모델은 초점거리가 3.5~8mm, 4.5~10mm, 6~12mm로, 그중 가장 수요가 많은 기종은 3.5~8mm 와 6~12mm이다.
--------------------------------------------------------------------------------
VCD(Video CD) VCD는 CD-ROM XA에 기반을 둔 CD 형식으로서 MPEG-1 비디오 데이터를 수록함은 물론, 상호작용 능력을 갖추도록 특별히 설계되었다. VCD는 DVD의 해상도에는 훨씬 못 미치지만, VHS와는 비슷한 해상도를 가진다. 각 VCD 디스크는 72~74분 정도의 비디오를 수록할 수 있으며, 1.44 M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가진다. VCD는 TV셋이나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VCD 플레이어, CD-i 플레이어, 일부 CD-ROM 드라이브, 그리고 일부 DVD 플레이어에서도 재생될 수 있다.
--------------------------------------------------------------------------------
VCR(Video Cassette Recorder) 자기녹화재생장치(磁器錄畵再生裝置). 76년 미국에서 방송에 쓰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 최근 비디오 테이프 플레이어의 보급으로 가정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VTR(Video Tape Recorder) 라고도 한다.
--------------------------------------------------------------------------------
VDA(영상분배기) 1대의 카메라 영상신호를 다수의 영상 모니터에 공급하는 장비
--------------------------------------------------------------------------------
VHF(Very High Frequency) 파장이 10㎝에서 1㎜까지의 전파를 말한다. 직진하는 성질 때문에 단파처럼 지구를 둘러싼 전리층에서 반사되지 않고 통과해 버리므로 초단파를 이용한 통신은 대상물이 일직선 범위내로 한정된다.
--------------------------------------------------------------------------------
VTR(Video Tape Recorder) 자기녹화재생장치(磁器錄畵再生裝置). 76년 미국에서 방송에 쓰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 최근 비디오테이프 플레이어의 보급으로 가정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VCR(Video Cassette Recorder) 라고도 한다. WATCH DOG DVR상에서 시스템 불안 시(시스템이 다운될 경우, 윈도우상에서의 에러발생으로 프로그램 오류발생의 경우) DVR시스템 상에서 스스로 BUG를 감지하여 대처하는 기능으로 일종의 자기진단 기능이다.
--------------------------------------------------------------------------------
Wavelet (웨이브릿) 웨이브릿(Wavelet) 차세대 영상압축 소프트웨어기술을 말한다. 웨이브릿 압축 기술은 JPEG처럼 프레임 단독으로 영상을 압축 복원하는 기법을 사용하면서 프레임당 3KB 내외(화면해상도 320 ×240 기준)의 압축률을 나타낸다. 웨이브릿은 정지영상 압축률이 JPEG 방식에 비해 3배 이상 높아 저장매체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수요처를 중심으로 호응을 얻고 있는 기술이다. 웨이브릿은 JPEG, MPEG 등 상용화된 다른 영상 압축 기술과 달리 아직 세계적으로 표준규격이 없다.
--------------------------------------------------------------------------------
Web Video server(웹 비디오 서버) 컬러 동화상이나 음성을 저장하여 통신회선과 근거리(LAN)에 접속된 단말기로부터 이들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서버를 말한다. 대화형 케이블TV등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이며 현재 일반 사무실에도 도입이 시작됐다. 이 시스템은 "고성능 중앙연산처리장치(CPU)"와 고속 입·출력이 가능한 "메모리" 그리고 많은 단말기에 화상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다중분배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화상데이터는 압축한 후, 디스크어레이로 보관된다. 현재 압축·확장방식은 전송속도 1.5메가비트/초의 MPEG1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사용되는 컴퓨터는 ①초병렬 컴퓨터 ②메인 프레임 ③전용기 ④PC 및 워크스테이션 등이다.
--------------------------------------------------------------------------------
X-ray tube (엑스선관)엑스선을 발생하는 진공관. 텅스텐 필라멘트로 된 음극을 가열하여 열전자를 방출시킨다. 엑스선관의 양극에 수만 볼트(V) 이상의 고전압을 걸면 전자류는 고속으로 양극을 향해 운동하여 텅스텐, 몰리브덴 등으로 만든 대향극(對向極)에 충돌했을 때 자신이 지니고 있던 에너지를 엑스선으로 방출한 다.
--------------------------------------------------------------------------------
Y signal 텔레비전이나 비디오 시스템에서 화상의 명암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휘도 신호(luminance signal)라고 하는데 컬러텔레비전이나 비디오 시스템에서는 전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절감하기 위해 휘도 신호에 색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중첩하여 전송한다. 이때에 밝기 성분을 나타내는 신호를 Y 신호라고 하고 색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 성분을 C 신호(chrominance signal)라고 한다. 사람 눈의 색 감각은 빛의 파장,즉 색에 따라 다르므로 비디오카메라로 촬상한 3원색(RGB) 신호에서 Y 신호를 만들어 내려면 눈의 색 감각에 맞춘 비율로 3원색을 혼합할 필요가 있다. Y 신호는 RGB(적·녹·청)의 컬러 촬상관의 출력 신호 ER, EG, EB을 매트릭스 회로로 아래와 같은 비율로 혼합하여 얻어진다. 즉 Y 신호 Ey=0. 30ER+0. 59EG+0. 11EB가 된다. Y 신호는 흑백텔레비전과 양립성이 있으므로, 이 Y 신호를 흑백 수상기로 수상하면 흑백 화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 컬러 수상기로 흑백 방송의 전파를 수신하면 이 Y 신호에 의해 흑백 화면을 재현할 수 있다.
--------------------------------------------------------------------------------
Zoom Lens (줌 렌즈)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확대 표시하는 요령으로 줌 효과를 얻는 것. 렌즈 등의 하드웨어를 변경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간단하게 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기본적으로는 한정된 정보의 일부를 확대 표시하는 것이므로 화질이 나빠지는 결점이 있다. 반면 렌즈 측에 주밍(zooming)을 하는 광학 줌이 있는데 렌즈의 초점 거리를 물리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줌 효과를 얻는다. 이 방법으로 화질 열화(劣化)는 피할 수 있으나 해상도가 높은 렌즈를 사용하지 않으면 역시 화질은 떨어진다.
--------------------------------------------------------------------------------
Digital) Zoom(DZ) - 디지털 줌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확대 표시하는 요령으로 줌 효과를 얻는 것. 렌즈 등의 하드웨어를 변경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간단하게 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기본적으로는 한정된 정보의 일부를 확대 표시하는 것이므로 화질이 나빠지는 결점이 있다. 반면 렌즈 측에 주밍(zooming)을 하는 광학 줌이 있는데, 렌즈의 초점 거리를 물리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줌 효과를 얻는다. 이 방법으로 화질 열화(劣化)는 피할 수 있으나 해상도가 높은 렌즈를 사용하지 않으면 역시 화질은 떨어진다.
--------------------------------------------------------------------------------
가시광선 일반 CCTV카메라는 가시광선에 의해 조명된 피사체를 찍는다. 가시광선이라는 것은 빛에 대해 사람의 눈이 감각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하며 빛의 파장으로 380nm~ 770nm의 범위이다. 380nm 이하 파장의 빛을 자외선, 770nm 이상 파장의 빛을 적외선이라 한다.
--------------------------------------------------------------------------------
감도카메라 성능을 표시하는 지표의 하나이다. 반사율 89.9%의 회색 피사체를 2.000LUX의 조명에서 촬영하여, 비디오 출력신호 레벨이 100%를 얻을 수 있는 F치(렌즈의 조임)로 표시한다.
--------------------------------------------------------------------------------
비월주사방식Pixel사이에 크롬 불순물이 도금된 전송로가 있어서 그곳을 통하여 전하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주로 범용 카메라에 적용되며, SSA 카메라도 이 방식이다.
--------------------------------------------------------------------------------
색신호 색신호란 색이 동반하는 신호를 말한다. 색에는 밝기(휘도) 및 종류(색상), 선명도(채도)라고 하는 3가지 요소가 있지만, 감시카메라를 포함한 텔레비전의 분야에서는 색과 휘도는 별도로 처리한다. NTSC방식에서 휘도는 휘도신호 0~4.2MHz의 영역에서 취급하고, 채도의 색신호는 3.58MHz의 칼라 sub케리어를 중심으로 한 1.5MHz의 영역에서 취급한다.
--------------------------------------------------------------------------------
생체인식 지문·목소리·눈동자 등 사람마다 다른 특징을 인식시켜 비밀번호로 활용하는 것이다. 즉, 인간의 신체적·행동적 특징을 자동화된 장치로 측정하여 개인 식별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모든 것을 가리킨다. 지문·얼굴·홍채·정맥 등 신체 특징과 목소리·서명 등 행동 특징을 활용하는 분야로 나뉜다. 얼굴모양이나 음성·지문·홍채 등과 같은 개인특성은 열쇠나 비밀번호처럼 타인에게 도용이나 복제될 수 없으며, 변경되거나 분실할 위험성이 없어 보안 분야에 활용된다. 특히 이용자에 대한 사후 추적이 가능하여 관리 면에서도 안전한 시스템을 구축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