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폴리스

프로폴리스란??

에루화 2009. 5. 30. 21:55

프로폴리스란 ?

프로폴리스(봉교; 蜂膠; Propolis)는 꿀벌들이 자신들의 생존과 번식을 유지하기 위
하여 여러 가지 식물들이 생장점을 보호하기 위하여 분비하는 수지(樹脂)와 같은 물
질에 꿀벌 자신의 침샘 분비물과 혼합하여 만든 물질이다. 꿀벌들은 이렇게 만든 프
로폴리스를 봉상(蜂箱; 벌통, 벌집)의 틈이 난 곳에 발라 병균이나 바이러스 또는 말
벌이나 쥐 같은 외적들을 방어하고, 유충의 산란과 성장 그리고 식량인 꿀이 적절히
숙성되고 보관되기에 적절한 위생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여왕벌이 소방(巢房)에 산
란을 할 때 일벌들이 소방을 청소한 후 프로폴리스를 바름으로써 소독을 하여 산란
된 알들이 안전하게 부화하여 유충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게 한다. 프로폴
리스란 말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프로(pro)는 <앞; Before>을 뜻하고 폴리
스(Polis)는 <도시; City>를 뜻한다. 그러므로 두 어원을 합하면 <도시의 앞>을 의
미하게 되고 여기에서 말하는 “도시”란 벌집을 뜻하므로 넓게 해석하면 “벌집 앞에
서 안전과 질병을 막아주는 물질”이라는 뜻이다.

 
 프로폴리스의 구성 물질과 후라보노이드

프로폴리스는 단일물질이 아니고 여러 가지 화합물로 구성된 복합물질이다. 지금까
지 약 149가지 화합물과 22가지 미네랄 등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 구
성성분은 수지(樹脂)가 50%, 밀납(蜜蠟)30%, 정유 등의 유성(油性)성분 10%, 화분
(花粉)5%, 유기물 및 미네랄 5%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프로폴리스의 구성성분 중
가장 중요한 물질은 후라보노이드(Flavonoid)라고 할 수 있는데 1970년도에 구 소련
의 과학아카데미에서 빌라누에바(U.H.Villanueva)박사는 프로폴리스속에 18종의 후
라보노이드 성분이 들어 있음을 밝혀냈고 그밖에 항생성분인 갈란지나 피오세모리
나(Galangina Pinocemorina)가 들어있다고 발표함으로써 벌집 속이 무균상태를 유
지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프로폴리스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힌바 있으며 미국 코넬
의과대학의 교수를 역임한 바 있는 독일 키일大 벤스 하브스틴(Bent Havesteen)박
사는 1980년 5월 제5회 국제 프로폴리스 심포지움에서 「후라보노이드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프로폴리스」라는 논문 발표를 통해 ?프로폴리스 성분 중 후라보노
이드는 바이러스에 대하여 탁월한 방어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후라보노이드가 세
균에 대한 방어벽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 방어벽은 세균 및 바이러스의 작용을 무
능화시켜 면역상태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고 발표하여 프로폴리스의 생리활성기
능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후라보노이드를 학계에 보고 한 바 있다. 후라
보노이드는 식물계에 폭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그 대부분은 배당체로 존재하고 있으
나 프로폴리스에서 발견되는 후라보노이드의 특징은 대부분 가수분해되어 非당분성
(aglycon)의 형태로 존재하며 또한 알카로이드의 존재도 확인되지 않는 다는 특징
이 있다. 또한 프로폴리스는 만들어지는 특성상 함유되는 후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지
역별 식물의 분포와 벌의 종류에 상당히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프로폴리스를 어떤 특정한 국가의 것이 좋고 나쁘다고 할 수는 없으며 같은 국가에
서도 그 지역의 나무 수종(樹種)이나 벌의 종류 그리고 오염의 정도에 따라 그 품질
이 현격히 달라 질 수밖에 없다. 
 프로폴리스에 함유된 후라보노이드의 생리활성 효과

후라보노이드(Flavonoid)는 대부분의 식물에 존재하며 C6-C3-C6를 기본골격으로
담황색내지는 노란색을 띠고 있는 페놀계 화합물의 총칭이다. 후라보노이드에 대한
생리적, 약리적, 의학적 효능효과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항돌연
변이성을 갖는 후라보노이드로는 flavonol계의 quercetin, kaempferol, myricetin이
있으며 flavone계의 apigenin, luteolin 그리고 limonin, nomilin등이 알려져 있다. 후
라보노이드의 주요 생리적 활성기능으로는 항균작용, 항산화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로폴리스의 항산화 효과

프로폴리스의 성분으로는 지금까지 약 150종 이상의 화합물이 알려져 있으며 주성
분으로는 polyphenols이며 polyphenols로서는 비당부로서 flavonoid, phenolic
acid 및 ester,phenolic aldehydes, ketone,다량의 왁스, 수지, 발삼, 정유, 화분 등
이 있으며 이외에 각종의 비타민 및 미네랄 등도 함유되어 있다(Walker,1987) 특히
산지나 채집 시기 및 주변의 식물 등에 따라서 함유 성분이나 함량이 다르며 효능에
도 다소 차이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Miyataka, 1997). 근래에 들어 각종 질환의 병인
으로서 활성산소나 free radical이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지고 있는데 프로폴리
스는 free radical의 일종인 DPPH에 대하여 강한 소거효과를 실험적으로 나타난다.
(최혁재 등, 1998) 프로폴리스에 함유된 flavonoid는 수산화효소(hydrolysis)을 비롯
하여 효소 억제제로서 작용하여 과산화지질 발생을 방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로폴리스의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지질과산화물 형성억제효과로 미루어 보
아 강력한 항산화 효과가 인정되고 이러한 강력한 항산화효과는 프로폴리스가 함유
하고 있는 flavonoid로 인하여 작용한다고(Ratty,1988)고 알려져 있다. 프로폴리스
에 함유되어 있는 flavonoid의 특징은 비당성으로 당분을 함유하고있지 않다는 점
이 특징으로 flavonoid가 인체의 세포막의 수용체에 결합하면 세포막에 존재하는 아
데닌산이 활성하게되며 다시 단백질 분해효소인 단백키나제가 활성화되어 그 에너
지에 의하여 세포는 활성화되면 동시에 과다한 활성산소도 포착하여 제거하는데 관
여하여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서울프로폴리스(주)
 
 
                                <프로폴리스 방사선 암치료 후유증 크게 줄여> 

벌이 생산한 물질이며 예부터 약리효과를 인정받아 대체의학에 다양하게 쓰이고
있는 프로폴리스.몇 년 전부터는 건강식품 뿐 아니라 껌이나 치약.화장품 등에 사용
되면서 연간 3백억원대의 시장을 형성할 정도로 대중화되고 있다.

최근 이 프로폴리스가 암환자의 방사선 치료 후유증을 크게 줄일 뿐만 아니라
위염의 원인인 헬리코박터파이로리 균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소 조성기 박사(방사선 생명공학팀장)는 지난달 25일
건국대 식품개발연구소와 서울기능식품이 공동주최한 한.일 자연의학 심포지엄에
서 방사선을 쪼인 실험용 쥐에 프로폴리스를 투입한 결과, 방사선에 의한 세포 DNA
손상은 감소한 반면 혈액을 생산하는 조혈기능과 면역기능은 크게 향상됐다고 밝혔
다.

암환자가 방사선 치료를 받을 때 가장 많이 나타나는 부작용은 정상적인
세포손상과 면역 및 조혈기능 저하. 이번 연구에서 프로폴리스 투입 후 쥐의
혈액 내 DNA 절단여부를 측정한 결과 DNA손상은 47% 억제되고, 조혈기능은
1백11% 회복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프로폴리스와 야채발효 효소에 키토산을
첨가한 복합제를 사용할 경우 면역세포인 T세포와 NK(자연살해세포)세포가
각각 1백52%, 73~1백13% 증강하는 효과를 보였다.

조박사는 "방사선 치료의 후유증이 암치료를 계속할 지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관건이기 때문에 프로폴리스의 조혈 및 면역기능 보호 효능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강원대 동물자원과학대 권명상 교수는 프로폴리스가 위염과 위암 유발인자로
잘 알려진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을 억제한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리코박터 균에 프
로폴리스를 접촉시킨 결과, 세균 증식을 도와주는 유리아제 생성을 30% 이상 억제
했다는 것. 그는 "프로폴리스의 주요성분인 후라보노이드가 헬리코박터 균을
제거하는 항생물질 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고종관 기자 kojokw@joongang.co.kr 
프로폴리스가 위염과 위암 유발인자로 잘 알려진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을 억제한다는 중앙일보 기사
내용(2002-05-07일자 의학) 
한국자연요법학회자료  ]